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러-우 사태에 따른 카자흐스탄 니어쇼어링 동향과 우리 기업의 카자흐스탄 진출 방안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24.12.05
[카자흐스탄 니어쇼어링 재편 동향]
- 러-우 사태 이후 다수의 러시아 투자 진출 기업이 영업 잠정 중단, 러시아 시장으로부터 철수, 또는 주변국으로의 비즈니스 거처 이전 결정
- 러-우 사태 이후 외국 기업들의 카자흐스탄 이전 및 투자 진출 증가
- 카자흐스탄 정부는 러-우 사태로 인한 공급망 재편에 적극적으로 대응, 자국 산업 발전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투자 촉진 전략 개발 및 인센티브 정비

[카자흐스탄 투자진출 동향 및 투자 환경]
- 러-우 사태 발생 영향으로 2022년 對카자흐스탄 외국인 직접투자는 281억 달러를 달성, 전년 대비 약 18% 증가하며 최근 10년 중 최대치를 기록 후 2023년 234억 달러로 일부 감소
- 2005년부터 2023년 국가별 누적투자액 기준 주요 투자국은 네덜란드, 미국, 스위스, 중국 러시아이며, 한국은 누적 투자액 181억 달러로 총 9위
- 해외 기업의 카자흐스탄 산업별 주요 투자 분야는 광업 및 채석업, 제조업, 도소매업, 운송 및 창고업, 금융 및 보험업, 건설업 순
- 카자흐스탄은 타 중앙아 국가 대비 큰 경제규모, 성장하는 인구 구조, 풍부한 천연자원과 안정적인 투자 환경 등 다양한 외국인 직접투자 유치 요인을 보유
- 산업별, 투자 유형별 인센티브 제공을 통한 해외직접투자 유치

[우리 기업의 카자흐스탄 진출 전략]
- 한국은 2023년 기준 카자흐스탄의 5대 투자국이며, 주요 투자 분야는 제조업, 보건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금융·보험업 등
- 투자 진출 유망 분야로는 식품 가공, 화장품 OEM 생산, 스마트팜, 의료기기 및 의료 서비스, 물류, 신재생 에너지 스마트 시티 프로젝트
- 우리기업의 카자흐 투자진출 시 한-카 정부 간 중점 협력분야 활용 필요
- 인프라 현대화 프로젝트 참여, 기술 이전 및 교육을 통한 차별화 전략, PPP 프로젝트 참여를 통한 현지진출 도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