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사업재편과 혁신자금을 활용한 기업의 성장 연구 - 유통(쿠팡)·금융(토스)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산업연구원
2024.12.05
산업연구원은 사업재편과 혁신자금을 활용한 기업의 성장을 유통·금융 분야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서론(1장)은 새 정부 출범 후 3년째 접어드는 상황에서 코로나19는 종식되었지만, 그동안 팽창한 유동성에 따른 고물가 및 미·중 무역 마찰의 장기화·국지적 전쟁에 따른 세계 공급사슬의 악화라는 제약 하에서 정부가 추구하는 ‘민간 주도 및 정부 지원의 역동적 경제’라는 국정 목표 지원을 위한 혁신 사례들의 조사·분석 필요성을 강조. 기업의 효율적인 경영을 지원하는 현실의 구체적인 제도와 정책들을 정확하게 살펴보고, 이러한 제도와 정책들이 실제 기업의 진입·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 왔는지를 확인해 봄으로써 정부가 추진하는 각종 정책들의 작동과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한 후,

- 2장에서는 기업의 성장에서 규제의 한계와 필요성을 검토하고 자금조달 및 사업재편과 관련된 주요 환경 변화와 정책들의 추이를 살펴보기로 함. 그동안 자금조달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이 등장했고 혁신금융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강화되었으며, 효율적 사업재편을 위한 제도적 변화가 진행되면서 기업들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응해 왔음. 그러나 지금까지도 경제의 주축인 대기업집단의 사업재편이 환경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수단이기보다는 특수관계인 및 주요 주주의 지배력 강화 및 승계에 활용되는 사례가 많아 기업 가치 저하 및 경쟁력 손상의 우려가 불식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관련 개선방안들을 간단히 검토

- 3장에서는 물류·유통 및 금융 분야에서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업들의 혁신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일어났고, 그 과정에서 기존 법·제도 및 정부의 정책들과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기로 함. ‘e-커머스’ 및 ‘핀테크’로 대표되는 혁신을 탄생시키기 위해 어떤 미래(꿈)를 상상했는지, 혁신을 이루기 위한 주체(player)들은 어떻게 조직을 구성하고 자금을 조달해서 기존의 공백을 메우고, 규제를 넘어갈 수 있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사업 주체와 관련 제도, 정책 당국 간의 협력과 규율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인식을 갖게 될 수 있을 것이고 이는 향후 다른 분야의 정책 수립 및 기업 활동에도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됨.

- 4장은 이제까지 설명한 기업의 효율적 경영 지원을 위한 제도 및 정책들, 그리고 구체적으로 사업재편과 혁신자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확장시킨 물류·유통 및 금융·IT 부문의 사례들을 검토한 결과를 통해 도출되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정리하였음. 혁신은 치열한 경쟁의 산물로 탄생하여 소비자로의 만족을 높이고 이에 따른 보상을 누리게 하지만, 일단 경쟁에 승리한 후에는 기존 고객과의 네트워크 효과를 남용하여 새로운 진입자나 더 나은 혁신 등장을 막는 장벽을 세우는 사례도 발생하므로 경쟁을 촉진하고 시장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감시·감독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