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수송용 유류세 한시적 인하에 따른 경제적 효과 및 정책 개선방안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24.12.10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수송용 유류세 한시적 인하에 따른 경제적 효과 및 정책 개선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우리 경제는 국제 석유시장의 상황과 석유가격 변동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데 이는 국제 유가의 움직임이 국내 실물경제와 금융시장에 상당히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임.

- 정부는 고유가 시기 국민경제 부담 완화를 목적으로 과거 수차례 수송용 유류세의 한시적 인하 조치를 단행한 바 있음.

- 정부의 한시적 유류세 인하 조치는 국민 모두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정부 재원에도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는 측면에서 국민 경제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정책임.

- 본 연구는 정부의 한시적 유류세 인하 조치에 대한 이론적 검토와 실증적 평가를 통해 정책의 합리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인 정책 대안 제시에 앞서 3가지 대원칙을 마련함.
· 첫째, 유류세 한시적 인하의 정책 목표는 「개별소비세」 법 제1조 7항에 기본을 둔 ‘경기 조절’과 ‘가격 안정’에 있으므로 개선된 정책방향도 이를 준용하는 것이 타당함.
· 둘째, 후생경제학 제1법칙(가격은 완전경쟁시장에서 자원이 파레토 효율적으로 배분하게 만듦)하에 정책 목표 달성에 있어 정부는 시장의 가격기능 개입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정책 수단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함.
· 셋째, 정부 재원 배분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정책 수혜자가 처한 상황을 반영한 선별적 지원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타당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