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2025년 한국경제 수정전망 - 성장경로 이탈이 우려되는 한국경제
현대경제연구원
2024.12.10
현대경제연구원은 2025년 한국경제 수정전망을 발표하였다.

- 최근 한국경제는 내수 경기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그동안 경기 버팀목 역할을 해 오던 수출 경기마저도 하강 우려가 커지면서 성장세 둔화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는 상황으로 판단됨.

[전망의 배경]
- (글로벌 경기: 높은 불확실성 속 완만한 개선) 글로벌 피봇(pivot)에 의한 금융 및 투자 환경 개선, 중국 등 주요국 경기 진작책 추진 등으로 세계 경제의 회복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나,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 불확실성 등과 같은 리스크가 성장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됨
- (국내 경기: 확대되고 있는 성장경로 이탈 가능성) 내수 부진이 지속되면서 수출 경기 회복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경제가 활력을 잃어가고 있는 가운데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의 개선세가 멈추면서 성장경로 이탈 가능성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 향후 국내 경제는 외수 불확실성 해소와 내수 모멘텀 확보가 없다면 성장경로를 이탈, 저성장 국면이 이어지는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이 큼. 특히, 수출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무역 및 관세 정책에 관한 공약 실천 여부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예상됨. 내수 부문은 재정과 통화 여력 모두 제한적인 상황에서 정책 타이밍과 재원의 분배 효율성 정도에 따라 회복 모멘텀의 강도가 결정될 것으로 보임. 만약, 수출 경기 회복세가 약화되기 전에 내수 회복을 견인할 수 있는 금리 인하의 가속이나 재정지출 확대 등의 정책 전환이 이루어진다면 ‘U’자형의 완만한 성장경로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2025년 한국경제 전망]
- 2025년 한국경제는 내수 경기 회복 지연 속 높은 외수 경기 불확실성으로 1.7% 정도의 성장세를 기록해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전망임.

[시사점]
- 2025년 한국경제는 잠재성장률을 하회할 정도로 성장세가 둔화될 가능성이 큰 만큼 성장 친화적인 정책 기조를 강화해 나감과 동시에 단기 경기부양책 도입 등을 통해 성장경로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취약계층을 중심으로 한 사회안전망 강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