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세미나자료
대외 환경 변화와 ICT 산업 전망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24.12.10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대외 환경 변화와 ICT 산업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이 보고서는 2025년도 전망과 더불어 2029년까지의 중장기 ICT 산업 전망을 다루며, 국내외 거시경제, ICT 산업 전반 및 주요 품목별 전망을 제시하고 있음. 이를 통해 한국 ICT 산업의 현재 위치를 진단하고, 미래 발전 방향을 예측하며,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함.

- 세계 경제는 2025년까지 2.7%에서 3.2%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한국 경제 성장률은 2.1%로 예상됨. 이는 글로벌 인플레이션 완화와 무역 회복 등 긍정적 요인이 존재하지만, 지정학적 긴장과 통화정책 변화로 인한 불확실성에 따른 결과로 보임. 또한 ICT 산업은 급속한 기술 발전과 시장 환경 변화 속에서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음.

- 세계 IT 시장은 2025년 9.3% 성장하여 약 5조 7천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AI와 클라우드 기술의 확산이 주요 동력으로 작용한 결과로 설명하고 있음. 국내 ICT 산업은 2025년 생산이 전년 대비 3.5% 증가한 약 575.3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수출은 7.4% 증가한 약 2,426억 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됨. 반도체, 컴퓨터 및 주변기기, 휴대폰 부문, 정보서비스, 소프트웨어는 전년만큼 빠른 속도는 아니더라도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이지만, 디스플레이 및 방송서비스 부문은 성장세가 둔화되거나 감소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됨.

- 국내외적으로 AI 기술의 발전은 ICT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적 변화를 주도하며, H/W, S/W, 서비스 등 모든 영역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임.

- 본 보고서는 주요 ICT 수출 품목의 성장 둔화에 대비하여 “품목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디지털 서비스 기업의 세계 시장 진출을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음. 또한, 지정학적 긴장과 세계 경제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ICT 수출 대상 “국가 및 지역을 다변화”하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시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