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현주소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방향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4.12.12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국내 액셀러레이터의 현주소와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방향을 모색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창업기획자(이하, 액셀러레이터)는 창업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뿐 아니라, 사업화 컨설팅, 전문가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보육을 함께 제공해 창업기업 성장 촉진과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역할 수행

- 국내에서는 액셀러레이터가 양적으로 증가하며 창업생태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되나, 여러 가지 문제도 제기되고 있음.

- 463개 국내 액셀러레이터 현황 분석 결과(2024년 6월 기준), 규모가 영세하고(자본금 평균은 약 20억 원, 중위값은 약 2.2억 원), 자본잠식 상태도 다수(약 34%가 자본잠식)인 것으로 확인됨

- 액셀러레이터 문제점 및 개선방안 도출, ① 액셀러레이터 심층 인터뷰를 통해 6개 범주, 25개 문제점이 도출되고, ②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5개 범주, 17개 문제점으로 합의되고, ③ 문제점 개선방안은 30개로 합의됨(신승용 외, 2024)

- 시사점
· 액셀러레이터의 자생력 및 전문성 강화
· 보육운영의 질적 개선 및 투자 생태계 강화
· 법·제도적 개선을 통한 자율성 및 유연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