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최근 금융시장 동향과 위험 요인
국회예산정책처
2024.12.13
국회예산정책처는 최근 금융시장 동향과 위험 요인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12월 3일 밤 비상계엄이 선포되었으나 다음날 새벽 비상계엄이 해제

[최근 금융·외환시장 동향]
- 비상계엄으로 인한 불확실성 고조로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이 확대
-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1,440원대까지 상승하였으나 해제 이후 1,410원대 수준으로 하락하다가 12/9일 1,435원대 수준으로 상승
- 12/4일 미국 뉴욕증시에 상장된 한국지수 펀드(iShares MSCI South Korea ETF)2)는 전일 종가대비 7.0% 하락했으나 점차 안정화되면서 전일대비 1.6% 하락한 수준에서 장마감
- 국가부도위험을 나타내는 신용부도스와프(CDS) 프리미엄은 한때 높은 변동성을 보였으며 비상계엄 해제 이후에도 12/3일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
- 국고채 금리는 하락세를 보이다가 12/4일 5bp(10년물) 상승하는 등 단기적 변동성 발생
- 국내 주가지수(코스피)는 12/9일 2,361로 12/3일 대비 5.6% 하락
- 외국인 투자자는 12월 4~6일간 주식시장에서 1조 111억원을 순매도하였으며, 채권 시장에서는 647억원을 순매수하였음.

[주요 외신의 보도 내용]
- 주요 외신은 이번 비상계엄 선포를 주요 뉴스로 보도하면서 향후 한국경제의 불확실성 확대를 우려

[시장안정화조치 및 대외건전성]
- 정책당국은 시장안정화 조치를 발표하는 등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대응
- (시장안정조치) 12/4일 정책당국은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개최하여 금융·외환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될 때까지 유동성을 확대 공급하기로 결정
- (대외건전성) 대외건전성 지표 중 대외지급능력을 나타내는 외환보유액은 4,200억 달러(2024년 3분기말 기준) 규모이며,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 비율은 37.8% 수준

[향후 위험요인]
- 최근 우리 경제는 내수 회복 지연 및 수출 증가 폭 축소 등으로 경기 개선세가 약화되고 있어 향후 불확실성이 증대되면 경기 하방 압력이 가중될 가능성
- 향후 금융 및 외환시장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즉각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할 필요

- 목차 -
1. 비상계엄 선포(2024.12.3.)
2. 최근 금융·외환시장 동향
3. 주요 외신의 보도 내용
4. 시장안정화조치 및 대외건전성
5. 향후 위험요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