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新산업정책의 과제와 반도체·AI 산업 육성전략
KDB 미래전략연구소
2025.01.07
KDB미래전략연구소는 新산업정책의 과제와 반도체·AI 산업 육성전략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지난 ’10년대부터 진행된 중국의 첨단기술 및 제조업 자립 추진은 각국의 경제안보 강화와 산업정책의 부활을 촉발하였음. AI 혁명 등 디지털 전환과 기후위기발 녹색 전환 역시 주요국들이 관련 산업 육성정책을 경쟁적으로 전개하는 요인이 되고 있음. 한국 역시 이러한 글로벌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고, 대내적으로도 주력산업 경쟁력 저하 등 구조적 한계를 타개하기 위해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산업정책이 요구되는 시점임. 우선 첨단전략산업 육성을 산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로 삼아 국가 차원의 총력적 지원책을 마련해야 하며, 그 방향에 있어서는 산업의 전면적 디지털·녹색 전환 추진과 함께 지역간 불균형 완화를 위한 지역 포용 정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 아울러, 경제안보 측면에서 동맹국 기반의 공급망 협력을 공고히 하는 한편, 산업·시장구도 등을 종합 분석하여 한국형 장기 산업전략을 수립 및 추진해 나갈 이행체계를 구축하여야 함.

- 미래 경쟁력의 핵심 요소가 될 반도체 산업 육성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첨단 메모리반도체 원천기술 및 선행기술 개발과 함께 고난도 패키징 공정기술 확보 전략이 필요함. 또 국내 팹리스를 위한 미들텍 이상의 공공 파운드리 설립, 다층위의 정부 지원책 마련을 통한 원활한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전력·용수 등 안정적 산업인프라 확보와 함께 장기적인 전문인력 확보 정책도 요구됨. 한편 한국은 AI 기술 경쟁력과 활용도 모두 열위한 상황으로, 국내 AI 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대규모 전용 펀드 설립 등 국가 차원의 자금 지원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모험자본 선순환 구조 강화가 필요함. 아울러, AI 주권 확보를 위한 원천기술 투자뿐 아니라 응용 서비스·플랫폼·에이전트 육성, 연합학습 기반 AI와 같은 창의적 전략 등으로 한국만의 독자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여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