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위기 대응을 위한 국내 주요 제조업 경기 동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다양한 유형의 리스크가 국내 경제·산업을 교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국내외 경제·산업 여건의 변화에 대한 상시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 초기에 위험 요인을 신속히 파악 및 감지하고, 국내 경제·산업에 대한 파급 영향 등과 관련된 상시 모니터링 체계가 요구되는 상황에서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주기적인 경기조사 방식은 경기 모니터링의 일환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경기조사(Business Survey)는 정성적 판단에 기반한 정량 분석의 결과를 신속히 제공하여 실물경기 변화를 적시에 파악하고, 향후 실물경기의 방향성 예측과 함께 국내 경제주체들의 대응책 마련에 유용한 참고 지표를 제공해 줄 수 있음.
- 산업경기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공식 지표들이 일정 시차를 두고 공표되고, 산업별 전문 통계들이 국내외 다양한 기관에 산재하고 있어 관련 통계들을 수집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등 위기 대응에 선제적으로 활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 이러한 한계를 고려하면, 설문조사에 기반한 경기조사 통계는 속보성이나 정보수집의 효율성 측면에서 상당히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
- 산업연구원의 제조업 전문가 경기조사는 2018년에 처음 시작되어 2019년 파일럿 서베이를 거쳐 2020년 하반기부터 매월 조사 결과를 공표하는 등 국내 다양한 경제주체들의 정보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노력해 왔음. 본 연구는 제조업 전문가 경기조사와 유사한 국내외 사례를 검토해 보는 한편, 그동안 축적된 통계 데이터의 시계열 추이와 통계적 정합성 검증 등을 통해서 전문가 경기조사의 유의성을 뒷받침하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두고자 함. 나아가 제조업 전문가 경기조사의 당위성 및 필요성과 관련된 근거를 제시하여 국내 경제주체들의 위기 대응력 제고 등에 일조하고자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