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최근 광주지역 주택시장 부진 요인 및 향후 전망
한국은행
2025.01.23
한국은행은 최근 광주지역 주택시장 부진 요인 및 향후 전망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Ⅰ. 검토 배경
- 최근 광주지역 주택시장은 전반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이 하락한 가운데 거래량이 줄어든 데다 미분양 주택 물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주택매수심리가 위축되었음. 본고는 이와 같은 광주지역 주택시장 부진 원인을 점검해 보고 향후 주택시장을 전망해 보고자 함.

Ⅱ. 광주지역 주택시장 부진 요인
- 수요 측면: 주택가격 하락 전망 우세, 아파트 분양가 상승, 주택이주 부담 증가, 높은 수준의 주택보급률 및 아파트 비율
- 공급 측면: 지역 건설사 분양 지속 및 민간공원 개발, 지역 건설시장 규모 대비 많은 건설업체 수, 주택경기 하강 및 주택공급의 높은 경기민감도

Ⅲ. 향후 전망 및 시사점
- 광주지역 주택시장은 단기적으로 수급불균형이 완화되면서 다소 회복될 것이라는 기대가 존재함. 최근 대출금리 하락에 따라 원리금 상환 부담이 감소하고 주택가격전망도 소폭 상승 전환하였기 때문임. 이와 함께 2025년 아파트 입주예정물량이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도 회복 기대에 일정부분 기여하고 있음.
- 그러나 중장기적으로는 구조적 요인들로 인해 개선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됨. 앞서 살펴보았듯이 높은 주택보급률과 아파트 비율, 인구 및 2인 이상 가구 수 감소, 시장규모 대비 많은 건설업체로 인한 공급확대 압력 등이 주택시장 개선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됨.
- 이러한 점에서 지역 주택시장의 수급불균형이 완화될 수 있도록 시장에서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함. 이를 위해 실적부진이 지속되고 경영개선이 어려운 건설사에 대한 업종전환 지원 등이 검토될 필요가 있음. 이와 함께 사업성은 양호하지만 일시적인 유동성 문제에 직면한 건설업체에 대한 금융지원 등이 고려될 필요성이 있음.
- 또한 인구 및 가구 구조 변동에 따른 주거 수요 변화에 발맞추어 주택공급 행태를 바꾸어 나갈 필요가 있음. 늘어나는 1인 가구의 주거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현재와 같은 중대형 아파트 중심이 아닌 소형 아파트 또는 비아파트 주택의 공급 비중을 높여 나가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