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이직현황 분석: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한 통합적 모델링
한국은행
2025.02.04
한국은행은 지역소멸 대응을 위한 이직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목적]
- 저출산, 고령화로 지역소멸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이직으로 인한 인구이동도 지역의 인구 유출을 가속화. 특히 전북지역은 여타 지역에 비해 소멸위험*이 크고 직업에 의한 역외이동 비중도 높은 것으로 나타남. 이에 국민연금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직으로 인한 인구이동의 특징을 다각도로 살펴보고 지역소멸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

[분석 데이터 및 모형]
-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4년까지의(매년 6월 기준) 국민연금공단 사업장 및 가입자 데이터에서 개인특성(연령, 성별 등), 사업장특성(규모, 업력, 업종) 등의 정보를 추출하고 이직여부를 식별하여 사용
- 로지스틱 모형으로 개인 및 사업장 특성에 따른 비이직 대비 이직, 역내이직 대비 역외이직 확률을 각각 분석한 후 다항로직스틱 모형을 통해 세 범주(비이직, 역내이직, 역외이직) 간 확률을 통합적으로 분석

[분석결과]
- 실증분석 결과 개인 및 사업장 특성 등에 따라 비이직 대비 이직 확률과 역내이직 대비 역외이직 확률 등이 유의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남

[전북지역에 대한 분석 결과]
- 전북지역으로 분석대상을 한정하여 살펴본 결과 대체로 전국을 대상으로 한 앞선 분석과 비슷한 결과가 나타났으나 연령, 성별 등 개인특성과 이직과의 연관성이 더 뚜렷하게 나타남
- 한편 역외이직을 유출과 유입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요인별로 유출과 유입 확률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모습
- 시간에 따른 이직확률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여성의 이직확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결론 및 시사점]
- 이직에 따른 인구 유출은 지역경제를 위축시키고 지역소멸 위험을 가중시킨다는 점에서 적극적인 일자리 대책이 필요
- 전북지역은 역외이직 확률이 시간에 따라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특히 여성층의 이직확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