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금융센터는 딥시크 출시의 미중대립과 글로벌 영향 및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이슈]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1월 20일 자체 AI 모델(Deepseek-R1, 이하 R1)을 공개한 여파로 인한 시장 충격이 해소되지 않으면서 국제금융시장의 관심이 고조
- [전망] 이번 사태로 기존 미중 중심의 AI 경쟁 구조가 더욱 공고해지고 첨단 기술대립도 한층 더 격화되면서 양자컴퓨터 등 여러 차세대 산업 전반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
- [글로벌 영향] 중기적으로 딥시크 출시와 미중의 기술 경쟁이 글로벌 AI 산업발전에 기여하겠으나, 다른 한편으로 기술 국수주의 심화 등을 통해 글로벌 및 우리경제 부담이 커지는 양면성에도 유의
- [시사점] 우리나라는 이번 사태가 유발하는 AI 및 반도체 산업 변화에 적극 대응. 궁극적으로는 첨단 기술 경쟁력 제고가 G2 사이에서의 전략적 가치를 확보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생존과도 직결될 수 있음에 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