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수용체 중심의 유해대기오염물질 건강위해성 평가 및 위해관리 전략 연구
한국환경연구원
2025.02.06
한국환경연구원은 수용체 중심의 유해대기오염물질 건강위해성 평가 및 위해관리 전략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유해대기오염물질은 저농도에서도 유전독성 등의 발암성을 나타낼 수 있어 암, 기형, 신경장애, 돌연변이 등의 건강영향을 유발할 수 있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함. 국내 폐암 사망률은 암 중 가장 높으며 전 세계적으로 폐암 사망의 29%가 대기오염물질로 인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음. 이와 같은 상황임에도 미국 등 국외의 대기오염물질 관리 체계에 비해 국내의 경우, 인체 건강을 고려한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체계가 미흡하고 위해도 기반의 정책 활용 방안이 미비한 실정임.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해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건강위해성 평가 체계를 구축하고 관리 기반을 마련하여 수용체(인체) 중심의 유해대기오염물질 위해 저감을 위한 관리 전략을 마련하고자 함.

-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체계 현황 파악을 위하여 국내외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체계 및 정책적 활용사례를 조사·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적용 가능한 평가 요소, 절차 및 활용 방안을 모색하였음. 즉, 국내 유해대기오염물질 선정 기준, 대기오염 측정망 및 관리 제도와 추진 계획 등을 분석하였고, 대기오염물질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본 과제와의 차이점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음. 국외의 경우 미국, 일본, 독일의 대기오염 관리 법령, 유해대기오염물질 관리 전략, 위해성 평가 기법 및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인프라와 정책 활용 사례를 분석하였고 국내 적용이 필요한 사항을 정리하였음.

- 국내외 현황 분석 결과 적용 가능한 수용체 중심의 유해대기오염물질 건강위해성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유해대기오염물질의 위해성 평가 체계를 제안하였음. 이는 화학물질 위해성 평가 체계와 미국 AirToxScreen 체계에 착안하여 환경보건적 관점에서 건강 측면을 고려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진단-평가-평가질 관리-활용의 4단계로 구성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