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전망·동향
한국경제 생산성 제고를 위한 개혁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25.02.06
한국개발연구원은 한국경제 생산성 제고를 위한 개혁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 경제의 기적을 지탱해 온 (그리고 희망컨대 지탱해 줄) 생산성 제고를 강조하고자 함. 보다 구체적으로, 사회 전반의 생산성을 향상시켜 경제 역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가 개선해야 할 분야가 어디인지를 식별하고, 나름의 변화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음. 여기에서 변화의 합리성을 판단하는 1차적 잣대로 ‘생산성에 걸맞은 보상의 제공 여부’가 제시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생산성은 강조될 필요가 있음. 경제학 이론은 생산요소의 (한계)생산성과 그들에 대한 보상이 일치할 경우, 가장 효율적인 자원배분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이고 있음. 특정 경제주체가 경제외적 요인에 의해 본인의 기여(혹은 생산성)보다 많은 보상을 획득하면 누군가는 본인의 기여만큼 보상받을 수 없게 되며, 이는 경제주체들의 유인구조를 왜곡하여 생산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노력을 심각하게 저해하기 때문임. 이는 경제주체의 생산성과 그들에 대한 보상의 연계를 단절시킨 공산주의 체제가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이기도 함.

- 시장경제체제하에서도 특정 경제주체들이 제도적 장벽을 통해 생산성 이상의 보상(경제학에서는 이를 ‘렌트’라고 지칭함)을 합법적으로 제공받는 경우가 많음. 특히 도입 당시에는 어느 정도 합리성을 인정받았던 규제들도 환경 변화에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하면, 결국 렌트를 향유하는 ‘기득권층’을 양산하여 생산성 향상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에 존재하는 지극히 경직적인 제도, 생산물 시장에서의 과도한 진입규제, 전문직에 대한 자격증 제도 등이 이러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점검해 볼 필요가 있음.

- 본 보고서는 이처럼 방대한 범위의 주제를 망라하고 있는 까닭에, 개별 연구의 학술적 엄밀성을 추구하기보다 축적된 기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연구진의 의견을 개진하는 형식을 취하였음. 제시된 정책방향 중에는 당장 논의를 진행시켜 실제 정책으로 구현해 볼 수 있을 정도의 구체성을 갖춘 제안도 있으나, 향후 사회적 논의를 위한 어젠다를 제시하는 수준에 머무른 부분도 있음. 그럼에도 본 보고서는 다양한 정책제안들의 논리적 정합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하였음. 개별 정책 하나하나가 나름의 의미가 있어도 여타 정책들과의 정합성이 유지되지 않을 경우, 의도된 정책효과가 발현되기는 쉽지 않기 때문임. 그런 관점에서 본 보고서는, 우리가 추진해 나가야 할 주요 개혁과제들을 사회 전반의 생산성 제고라는 일관된 프레임워크하에서 제시해 보고자 하였음.

- 물론 본 보고서의 제안이 실현된다고 해도 그 효과는 상당한 기간이 경과해야 나타날 것이라는 점에서 당장의 성과를 창출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것임. 그러나 당장의 경제성과에만 집착하여 이러한 구조개혁을 소홀히 할 경우, 10~20년 뒤 우리는 현재보다 더 어려운 경제상황에 직면하여, 또다시 지난 10~20년간 우리가 준비해 온 것이 없음을 후회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