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2월 한국 기준금리 인하 전망 - 2월 금융시장 브리프
우리금융경영연구소
2025.02.07
우리금융경영연구소는 2월 금융시장을 분석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1월 국내 금융시장 동향]
- 1월중 국내 금융시장은 한은·연준의 금리 동결을 배경으로 원화와 증시가 강세 전환하고 국고채 금리는 소폭 상승
- 2월초에는 트럼프 관세 뉴스에 따라 금리·환율·주가의 변동성이 확대

[최근 현안: 미 연준 통화정책 여건 변화와 전망]
- 지난 30년간 미국의 5차례 기준금리 인하사이클 가운데 직전 4차례에는 장기금리(국채 10년물)가 동반 하락했으나, 금번 인하기에는 오히려 큰 폭 상승하는 등 물가·고용·중립금리 측면에서 미국 통화정책 여건에 변화가 감지
- (물가·고용) 연준이 금리인하로 전환한 후 초과 노동수요가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신정부 출범 이후 정책 변화가 예상됨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이 상승
- (중립금리) 수준 자체가 상승한 점을 고려할 때, 연준의 소폭 인하만으로도 미국 경기 연착륙 달성이 용이해졌음을 시사
- 미국의 견조한 경기와 노동시장, 트럼프 취임 이후 물가 재반등 우려 등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올해 중단될 가능성이 확대되었으며, 금번 금리 인하기와 유사한 95~98년 당시 달러인덱스(DXY)가 19% 올랐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당분간 강달러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

[2월 금융시장 전망]
- 한국은행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과 국내 정치불안 등으로 내수 경기의 하방위험이 크게 확대된 상황을 감안하여 2.25일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25bp 인하(3.00% → 2.75%)할 전망
- 국고채 금리는 미 연준의 매파적인 스탠스, 국내 고환율 지속에 따른 채권 매수심리 위축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제의 하방위험 확대, 한은의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 등을 반영하여 하방압력이 우세(국고채 3년물: 1월말 2.57% → 2월말F 2.50%)
-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강화, 연준의 매파적인 통화기조 영향으로 1,450~1,470원 내외에서 높은 수준을 유지(원달러: 1월말 1,454원 → 2월말F 1,460원)
- 국내 증시는 고환율 부담 지속, 트럼프 2기 신정책, 딥시크發 AI 및 반도체 충격 등을 반영하여 2,500pt 내외에서 등락(KOSPI: 1월말 2,517 → 2월말F 2,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