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지역 산업클러스터 정책·사업 평가
국회예산정책처
2025.02.07
국회예산정책처는 지역 산업클러스터 정책·사업 평가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 우리나라는 수도권에 인구·산업·경제력이 집중됨에 따라 수도권-비수도권 간 경쟁력 격차가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정책적 대응이 중요해지고 있음.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 사유로 ‘직업’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점을 고려할 때, 지역경제 활성화와 균형 발전을 목적으로 시행되는 ‘지역 산업클러스터 정책·사업’의 중요성은 매우 높다 하겠음.

- 정부는 지역 산업클러스터의 지원·육성을 위해 다수의 정책·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2024년 9월 기준으로 10개 중앙행정기관에서 52개 유형, 2,330개의 지역 산업클러스터를 지정·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또한, 관련 예산 규모는 최근 5년(2021~2025) 간 총 6.5조원에 이르는 등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는 미진한 실정임.

- 이러한 배경에서 본 보고서에서는 지역 산업클러스터 지정·입지의 적정성, 지역 산업클러스터 정책·사업의 성과 및 운영·관리체계를 중심으로 개선과제를 분석하였음.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지역별 비교우위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균형 있게 배치되어 있는지, 지역균형발전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는지, 다양한 지역 산업클러스터를 망라하는 거버넌스 체계가 갖추어져 있는지에 대하여 심층 고찰하였음.

- 목차 -
I. 개요
1. 분석의 배경 및 목적
2. 분석의 구성 및 방법
II. 주요 현황
1. 지역 산업클러스터의 개념 및 범위
2. 지역 산업클러스터 지정 현황
3. 지역 산업클러스터 지원 현황
Ⅲ. 주요 쟁점 분석
1. 지역 산업클러스터 지정·입지 적정성 분석
2. 지역 산업클러스터 정책·사업 성과 분석
3. 지역 산업클러스터 운영·관리체계 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