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KB주택시장 리뷰 - 2025년 2월호
KB경영연구소
2025.02.17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주택시장 동향을 분석한 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2월호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동향] 시장 불확실성 지속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며 수도권 주택가격이 하락 전환하고 거래량도 감소
- 인천(-0.19%)·경기(-0.14%)에서 하락폭이 확대되고 서울(+0.05%)에서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수도권 주택 매매가격은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하였으며, 서울에서도 하락 지역이 확대
- 주택 매매 거래 감소세가 지속되면서 월 거래량이 2개월째 5만 호를 하회하고 미분양 아파트가 크게 증가하는 등 주택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확대

[매매시장] 매수세 감소로 전국 주택 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거래도 위축
- (매매가격) 1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2% 하락하며 2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임. 수도권(-0.08%)은 서울에서 상승세가 둔화되며(2024년 12월 +0.17 → 2025년 1월 +0.05%) 지난해 7월 이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하였으며, 비수도권(5개광역시 -0.20%, 기타지방 -0.15%)은 하락세를 지속. 서울은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1월 들어 하락 지역이 확대. 한편 서울시는 지난 2월 12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일부 해제하였으며 이는 해당지역 가격 상승 기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이나 시장 불확실성이 커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
- (매매 거래) 12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4.6만 건)은 전월 대비 6.5% 감소하며 2개월째 5만 호를 하회. 수도권(-7.1%)과 비수도권(-6.0%) 모두 거래량이 감소하였으며, 수도권은 8월 이후 5개월째 감소세가 지속

[전세시장]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상승세가 둔화된 반면 전월세 거래량은 전월 대비 크게 증가
- (전세가격) 1월 전국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01% 상승하며 지난달(+0.10%) 대비 상승폭이 축소. 수도권(서울 +0.05%, 경기 +0.08%, 인천 +0.08%)은 상승세가 둔화되고, 비수도권(5개광역시 -0.03%, 기타지방 -0.05%)은 하락 전환
- (전월세 거래) 12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21만 7,971건으로 전월 대비 14.0% 증가. 임차 유형별로는 전월 대비 전세 거래(8.6만 건)가 7.7%, 월세 거래(13.2만 건)가 18.6% 증가. 12월 월세 거래 비중은 60.5%로 2021년 6월 전월세신고제 도입 이후 최고치를 기록

[주택 분양] 분양물량 감소에도 미분양 아파트는 큰 폭으로 증가
- 1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약 1만 호로 전월 대비 50.3% 감소(수도권 -80.9%)
- 12월 전국 미분양 아파트(7.0만 호)는 전월 대비 약 5천 호(수도권 +2,503호, 비수도권 +2,611호)가 늘었으며, 특히 준공후 미분양 아파트가 크게 증가(+ 2,826호)

[주택 금융] 주택담보대출의 낮은 증가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금리는 하락 전환
- 1월 들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증가폭(+1.7조 원)이 확대되었으나 지난해 월평균 증가액(+4.4조 원)을 크게 하회
- 12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4.25%로 지난해 8월 이후 5개월 만에 0.0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