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모빌리티 혁신에 따른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와 지속발전 방안
산업연구원
2025.02.18
산업연구원은 모빌리티 혁신에 따른 자동차산업 구조 변화와 지속발전 방안을 살펴본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모빌리티 혁신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과 연계된 산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고 관련 생태계를 구축하여 산업을 활성화하는 등의 지속가능 발전을 도모하는 활동을 의미함. 자동차산업은 모빌리티 혁신을 통하여 소비자의 모빌리티 이용방식과 공급자의 경쟁 요소가 변화되는 산업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

- 모빌리티 혁신이 진행되면서 배터리, 모터, BMS, AI, 비전 센싱 등 핵심기술과 소프트웨어 등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생산기술도 데이터 활용과 AI를 통해 유연성과 효율성 제고를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 이러한 과정 속에서 공급망은 부품·하드웨어 중심에서 소프트웨어, 반도체, 센서, IT 기술로 확장되고 있으며, 빅테크 및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의 진입으로 전통적인 수직 구조가 수평적으로 변화하고 있음. 핵심 경쟁 요인도 기존의 품질, 가격경쟁력, 생산 역량에서 차량용 OS, 자율주행 시스템, 커넥티드 기능 등으로 변화할 전망으로 새로운 시장 참여자와 기존 업체 간 혁신과 연구개발 경쟁이 치열해지고 산업의 구조와 경쟁 구도도 더욱 복잡해질 전망임.

- 그러나 일부 대기업과 관계 부품업체를 제외한 우리 자동차산업 생태계는 기술개발 역량이 부족하여 산업구조 변화 대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최근 판매 실적도 나빠져 투자 금액은 더욱 줄어들 수밖에 없는 악순환 고리로 인해 모빌리티 혁신 대응이 늦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음. 정부는 자동차산업의 모빌리티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기존의 단편적 기술 정책을 넘어 IT, 에너지, 교통 인프라와 연계한 종합적 접근이 필요함. 특히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 데이터 신뢰 시스템 등 데이터 활용 환경을 조성하고 미래차 관련 공급망 안정화 지원이 필요함. 자율주행 기술 기반 모빌리티 서비스는 전통적인 B2C 판매에서 B2B 모델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공공 운송서비스와 연계를 통해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