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5.02.19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미래농업 대응 신성장 산업의 성과와 정책과제를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 및 이에 따른 이상기후의 빈번한 발생, 인구 고령화 및 농촌 공동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 심화 등으로 안정적인 식량생산에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임. 이에 농업은 기후변화,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 환경오염 등의 다양한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첨단기술과의 적극적인 융합을 통해 생산량 증대 및 고부가가치 창출을 시도하고 있음. 이와 같이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 및 경쟁력 강화를 견인하는 분야를 농업분야 신성장 산업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드론 및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팜으로 대변될 수 있는 스마트농업을 대표적으로 생각할 수 있음. 이 연구는 2013년부터 우리나라 영농현장에 보급되기 시작한 스마트농업의 성과를 현재 시점에서 측정하며,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농업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를 모색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농업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인 드론 및 자율주행 농기계, 스마트팜의 현황과 농가 반응, 성과 등을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책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있음.

Agriculture is actively pursuing changes in response to global and domestic factors to secure stable food production and boost competitiveness. Consequently, several agricultural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the future. There is a growing trend toward developing agriculture as a future-oriented industry by integrat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IT (information technology), ET (environmental technology), NT (nanotechnology), and BT (biotechnology). This shift is driving innovations aimed at transforming traditional agricultural systems, which tend to have lower productivity than other industries, rely on conventional R&D approaches, and are labor intensive. Among these transformations, industries focusing on enhancing sustain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agriculture are emerging as new growth sectors. A prominent example of this new growth is smart agri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