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도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시사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5.02.27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은 디지털 전환에 따른 인도의 사회·경제적 변화와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인도는 디지털 공공 인프라(DPI)를 핵심 기반으로 디지털 전환을 추진 중이며, 사회 전반의 디지털화를 궁극적 목표로 함. 정부는 디지털 인디아(Digital India) 전략을 통해 인터넷 및 통신 인프라를 확장하고, 공공 서비스 및 금융 시스템에 디지털 기술을 확대 적용하고 있음. 이를 통해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경제 전반에서 디지털화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음.

- DPI는 디지털 ID, 전자결제 시스템,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등으로 구성되며, 개방형 API를 기반으로 공공 및 민간 부문에서 모두 활용 가능. 정부는 이를 통해 국민에게 필수적인 디지털 서비스를 제공하고,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며 경제 활동을 지원하는 기반을 구축함. 이러한 노력은 인도의 디지털 혁신과 국가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며, 정부 주도의 디지털 전환이 국가 발전에 기여함을 보여줌.

- 디지털 전환을 바탕으로 한 금융 포용성 확대는 사회·경제적 변화를 촉진하였음. 전자 신원 인증 시스템과 은행 계좌 개설 정책으로 국민이 손쉽게 은행 계좌를 개설하고 디지털 결제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게 됨. 이러한 변화는 금융서비스 접근성을 확대하고, 특히 여성과 농촌 지역 주민들의 금융 접근성을 크게 개선함으로써,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의 소외계층을 포용에 중요한 역할을 함. 나아가 금융 접근성 확대는 단순한 금융 서비스 이용 편의를 넘어, 인도의 사회적 불평등 완화와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의 기반 구축에 기여하고 있음.

- 한국과 인도 간 디지털 협력은 인프라 구축, 디지털 금융,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