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Horizon Europe 준회원국 가입에 대비한 국제공동연구 활성화 전략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목적]
-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가입으로 국제공동연구가 활성화될 수 있도록 새롭게 구축 혹은 보완해야 할 지원시스템에 대한 대안을 제시
[주요내용]
- 본 연구는 호라이즌 유럽(이하, HE) 프로젝트를 기획-수행-성과 단계로 구분하고, 이를 연구 분석틀로 활용함.
- 해외 사례연구를 통해 호라이즌 유럽에의 참여 확대를 위한 국가 전략 수립의 필요성, 범부처 전주기 지원체계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 NCP 제도, 행정관리 인력, 국내외 연구자들 간 네트워킹 이슈에 대한 현황과 개선의 필요성을 파악함
[정책대안]
- 본 연구는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과 범정부 차원의 이슈들을 중심으로 총 5개의 이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책대안을 제시함
- (중장기 대유럽 협력전략) 단기적으로는 유럽과의 중장기 협력전략 수립 및 10차 FP 준비 착수, 중장기적으로는 과학기술 국제협력을 위한 전략적 인텔리전스 강화
- (범정부 전주기 지원체계) 단기적으로는 범정부 지원을 위한 법적 기반 및 거버넌스 정비, 중장기적으로는 국제공동연구 특성에 맞는 성과 관리체계 마련
- (NCP 운영방식) 단기적으로는 NCP 역할·구성 정비 및 보상체계 강화, 중장기적으로는 NCP를 주축으로 한국의 글로벌 영향력 확대
- (지원인력 관리 역량) 단기적으로는 전문적인 연구관리 지원인력을 위한 교육과정 및 컨설팅 제공, 중장기적으로는 행정인력 변경 최소화 및 국내외 교류 정례화
- (국내외 연구자들 간 네트워) 단기적으로는 해외 연구자 네트워킹을 위한 사전기획과제 확대 및 COST 조속 가입, 중장기적으로는 유럽 현지 중장기 체류 지원 프로그램 확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