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통연구원은 배터리 화재발생에 따른 도로터널시설 대피계획 개선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2024년 8월 1일, 인천 청라동의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전기차 배터리에서 발생한 화재로 140여 대의 차량이 전소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음. 화재의 원인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오류로 과충전이 일어나거나 배터리 셀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화재가 지하주차장이라는 제한된 공간에서 발생해 초기 진압에 실패하면서 확대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이러한 사고는 전기차의 보급 증가에 따라 늘어
나고 있으며, 전기차 화재는 열 폭주 현상 때문에 일반 화재와는 달리 질식소화가 불가하여 기존의 화재대응 시스템으로 소화가 어려움.
- 전기차 화재의 위험성이 커지면서, 전기차를 지하주차장에 주차하고 충전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고 있음. 일부는 전기차의 지하주차장 진입을 제한하자는 의견을 제시하는 반면,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진입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 대립하고 있는 실정임. 지금까지도 전기차 배터리 화재 발생 원인과 화재 진압 방법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해결책을 찾기 어려운 상태임.
- 먼저 전기차 충전시설의 안전관리 및 유지 보수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배터리 화재의 전조 증상을 감지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해야 함. 지하주차장 및 터널 등 밀폐된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 화재에 대비하여 이동식 침수 수조를 비치하는 등 소방대의 소화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적극적인 전기차 화재관리를 위해서 전기차 주차장의 물리적 격리와 구획 또는 층을 나누어 군집 관리하는 등 상대적으로 관리가 용이하게 만드는 것도 하나의 방법임. 전기차 검사 시 배터리 상태 검사를 포함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관리가 용이하게 만들고, 전기차 규제의 복잡한 관리주체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관리와 관련해서는 차량 전문성이 가장 높은 국토교통부가 관리해야 함.
- 특히, 배터리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전담 부서의 설립 등이 필요함. 마지막으로, 터널시설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연구와 피난을 고려한 이동수단 등의 설치가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