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2025년 전국인민대표대회, 중국정부의 경제정책방향
한국은행
2025.03.10
한국은행은 2025년 중국정부의 경제정책방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중국 최대의 정치행사인 양회(兩會)가 2025.3.4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3.5일 전국인민대표대회(이하 전인대)가 각각 개최되면서 시작

- 리창(李强) 총리는 3.5일 전인대 정부업무보고에서 2025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5% 내외로 제시하는 등 경제정책방향을 발표

[2025년 주요 경제정책방향]
- (경제 여건) 중국경제는 대외적으로 글로벌 경기 둔화, 무역 규제 강화 등 불확실성 심화, 대내적으로 유효수요 부족, 일부 기업의 경영상 어려움 지속, 고용 및 가계 소득여건 부진 등 구조적 문제에 직면있는 가운데, 수요 진작, 새로운 생산력 개발, 구조개혁 심화 등에 주력할 계획
- (주요 경제지표 목표) 2025년 경제성장률 목표를 2024년 목표 수준과 동일하게 5% 내외로 설정
- (거시경제 정책방향) 재정정책을 보다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통화정책은 완화적으로 운용하는 가운데, 재정·통화·고용·산업·지역·무역·환경 등 관련 부문 정책과 개혁·개방 조치간 조합을 통해 정책 효과를 제고하는 한편, 긍정적인 사회적 기대 형성에 주력

[금년도 중점 추진과제]
- (내수 확대) 잠재소비를 활성화하고 투자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국내 수요를 적극 창출
- (기술혁신 등을 통한 산업 현대화) 기술 혁신, 생산성 향상 등 첨단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에 주력
- (과학기술 교육 강화)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시스템을 구축
- (핵심 분야 개혁 추진) 국유기업의 개혁을 적극 추진하고 민간기업의 발전과 성장을 지원
- (대외개방 확대) 외국인투자를 독려하는 가운데, 중간재·서비스·디지털 무역, 국경간 전자상거래 등을 확대
- (금융·경제 주요 리스크 예방·관리) 부동산, 지방정부 부채, 중소금융기관 등과 관련된 주요 리스크를 사전에 예방하고 억제
- (농업 현대화 추진) 농촌의 소득보강, 산업 및 건설 발전 수준 제고
- (도농통합과 지역협력발전 추진) 도시화 추진을 가속화하고, 지역별로 차별화된 발전 노력을 강화
- (녹색·저탄소 발전 추진) 녹색·저탄소 관련 정책적 노력을 가속화
- (민생안정 및 개선) 고용안정과 소득증대를 위한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

[시장 평가 및 전망]
- 2025년도 경제성장률 및 물가수준 목표: 2025년도 경제성장률 목표(5% 내외)는 시장예상에 대체로 부합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실현가능성에 의구심을 제기. 한편 소비자물가 상승률 목표를 전년 3%에서 올해 2%로 하향 조정한 것에 대해서도 평가가 엇갈리는 모습
- 내수 확대를 최우선 정책과제로 추진: 2025년 최우선 정책과제로 내수 확대를 선정한 것은, 국내 소비·투자 확대를 통해 내수중심 성장전략을 강화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며,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미·중 무역갈등 심화, 글로벌 지정학적 불확실성 등에 대비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
- 산업고도화 및 과학기술교육 강화를 통한 경제성장 도모: 중국 정부는 「고품질 경제 혁신」과 「새로운 생산력」을 강조하며, AI+, 저고도경제(低空經濟), 6G, 바이오, 양자 기술, 스마트 제조, 디지털 경제 등 첨단산업에 대한 정책 지원을 강화. 이는 글로벌 기술 경쟁에서의 우위 확보, 생산성 제고, 인적자원 확충 등에 대한 중국정부의 강력한 정책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
- 국민경제 중점지원분야 등에 대한 인민은행의 유동성 공급 확대: 인민은행은 재대출 프로그램 규모를 탄력적으로 증액하여 해당 기업의 금융비용을 경감해 주는 한편, 주식 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