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2025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 ‘통상정책의제’ 주요 내용
한국무역협회
2025.03.17
한국무역협회는 2025년 미국 트럼프 행정부 ‘통상정책의제’ 주요 내용을 분석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1. 2025 통상정책의제 주요 내용
- 미국의 ‘위대한 세기’ 도래를 위해 강력한 통상정책 추진을 제시
- 미국 우선주의 통상정책’ 실현 위한 핵심 과제로 제조업 중심의 ‘생산 중심 경제’ 달성 제시
- 트럼프 1기 통상정책 성과를 바탕으로 2기 통상정책 추진 천명

2. WTO 문제점 및 개혁 필요성
- 통상정책 주권 수호 측면에서 現 WTO 체제의 근본적 개혁 없이 미국의 참여가 지속되기 어려움을 강조

3. 한국 관련 주요 내용
- ‘2024 무역협정 연례보고서’에서 지난해 한미 FTA 주요 협의 경과를 기술
- (농업) 양국은 농업무역위원회에서 미국산 육류·가금류에 대한 과학적 잔류 기준 설정, 한국의 농약 등록 요건, 농업생명공학 제품에 대한 승인 절차 등을 논의(’24.10.)
- (노동) 한미 FTA상의 노동권 준수 여부를 지속 협의하고, 2022년 제기된 안건을 검토
- (섬유) 역외산 원사를 사용한 구리암모늄레이온 직물에 대해 한미FTA 무관세 혜택을 적용하는 원산지 기준 개정안 발효(’24.8.)
- (환경) 제4차 한미 환경협력위원회(ECC) 및 환경협의회(EAC)를 개최하여 한미 FTA 환경 챕터 의무 이행 현황을 점검(’24.7.)

4. 결론 및 시사점
- 2025 통상정책 의제는 트럼프 2기의 통상정책 철학을 담은 첫 문건으로 향후 구체적 통상정책이 제시될 예정
- 트럼프 1기 통상정책이 미국 우선적 시각을 반영하면서 해외시장 개방 및 무역협정 체결을 제시한 반면, 2기 첫 통상정책의제는 미국 우선주의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역내 제조업 강화를 강조
- 1기 첫해 보고서(2017)와 달리 한미 FTA 관련 지적은 없으나, 반복해서 4월 상호관세를 언급하고 있어 주의할 필요
- 금년 보고서는 5년 만에 WTO를 다뤘으나 WTO 문제점과 회원국의 개선 노력 부재를 지적하는 데 그쳐, 트럼프 2기 임기 동안 WTO의 실질적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