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전략경쟁시대 중국 신산업정책의 시사점 - 전략성신흥산업 중 반도체, 이차전지, 핵심광물자원, 바이오를 대상으로
산업연구원
2025.03.18
산업연구원은 전략경쟁시대 중국 신산업정책의 시사점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트럼프 정부가 출범한 2017년부터 미·중 통상분쟁이 시작되었고 이후 본격적인 대중국 압박이 시작된 2018년 초부터 2022년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과학법과 인플레이션감축법의 제정 그리고 2023년부터 이어서 발표되고 있는 가이드라인까지 미국 정부는 점점 강도를 높여 중국을 견제하고 있음. 미국은 트럼프 대통령의 공화당 정부나 바이든 대통령의 민주당 정부를 막론하고 중국을 글로벌 패권의 경쟁자로 인식하면서 이전과는 달리 산업 분야에서 매우 강도 높은 대중국 정책을 쏟아내고 있음. 이에 중국은 때로는 상응하는 보복조치를 취하고 대미국 기술의존도를 낮추면서 산업자립화를 추진하고 있음. 특히, 전략성신흥산업이라는 신산업 분야에서 자립화를 목적으로 산업 육성에 주력하고 있음. 이러한 글로벌 산업통상환경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로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하는 근본적인 물음에 봉착하게 되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의 두 가지 목적을 가지고 수행되었음. 하나는 중국 신산업정책의 내용 및 추진수단과 정책효과에 대하여 정확히 파악하는 것임. 신산업 분야별로 어떠한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로를 거쳐서 기업을 육성하고 있으며, 실질적인 효과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필요에 따라 중국의 정책을 벤치마킹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적임. 그리고 중국 신산업정책의 결과, 국제적으로 해당 산업 분야가 어떻게 재편될지를 전망하고 우리의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두 번째 연구 목적이라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