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전망·동향
글로벌 지정학적 위험요인과 에너지 안보
에너지경제연구원
2025.03.18
에너지경제연구원은 글로벌 지정학적 위험요인과 에너지 안보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 에너지 자원 공급국들의 자원 무기화 정책과 주요 에너지 다소비국들의 우방국 중심 공급망 구축 전략 등이 전 세계적으로 확대·심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정학적 위험요인들이 정부의 에너지안보 정책과 기업들의 공급망 구축 전략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

- 특히 주요 선진국(EU, 영국, 미국, 일본 등)은 지정학적 위험에 대응하는 새로운 경제·에너지 안보 전략을 수립·추진하고 있음.

- 이에 지정학적 위험요인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발생 초기에 이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위험요인을 지수화 하여 에너지 부문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필요성이 크게 증대되었음.

- 이에 본 연구에서는 EU와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의 지정학적 위험 회피 전략을 살펴보고, Caldara·Iacoviello의 GPR 지수를 사용해서 지정학적 위험이 분석대상 국가와 우리나라의 에너지 부문(석유제품 가격, 에너지 상품 교역, 재생에너지 보급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 이들 통해 지정학적 위험 회피와 관련된 정부의 정책 결정 및 전략 수립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 또한, 지정학적 위험을 분석·예측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이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