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저출생·초고령화에 대응한 농촌정책의 전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 목적]
- 이 연구는 저출생·초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농촌 사회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둠. 한국 농촌은 전국 평균보다 빠르게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며,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도전에 직면해 있음. 농촌 인구의 감소가 지역 경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인구 감소 사회에 적합한 새로운 정책 방향을 제시하려 했음. 특히 저출생·초고령화 상황에서 농촌 주민의 삶의 질을 유지하고 지역사회 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데 초점을 두었음.
[연구 방법]
- 문헌 검토, 통계 분석, 초점집단토론(FGD), Q-방법을 수행하였음. 문헌을 검토하여 저출생·초고령화 관련 주요 법정계획 및 외국의 정책 사례를 분석하였음. 통계자료를 분석해 농촌 지역의 저출생, 고령화, 인구 감소 현황을 파악하였음. 초점집단토론은 농촌 주민의 경험과 인식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려는 목적으로 진행하였음. Q-방법을 활용해 정책 요구를 유형화하고 주요 과제를 도출하였음. 농촌 인구 변화와 주민 요구에 적합한 정책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다각도로 자료를 조사·분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