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해양정보산업 진흥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해양정보산업은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음. 과거에는 해양정보의 생산과 활용에 제약이 있었으나,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에는 불가능했던 정보의 생산과 재생산이 가능해졌다. 시장에 대한 이러한 기대는 12.2%라는 높은 연평균성장률 전망으로 나타나고 있음.
- 해양수산부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에 동참하여 다양한 국가계획 및 정책을 통해 해양정보산업에 주목하고 있음. 그러나 국내 해양정보산업은 아직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한 상태임. 여러 원인이 있겠지만, 그중 해양정보산업에 대한 독립적이고 일관된 정책의 부재가 큰 비중을 차지함. 타 정보산업들은 정보 생산에 관한 조사법, 산업화에 관한 진흥법, 산업 진흥을 위한 조직 구조 등 독립된 산업 지원 정책 체계를 갖추고 있는 반면, 해양정보산업은 이러한 체계적 지원이 미비함.
- 본 연구는 해양정보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주목하였음. 주로 공공 영역에서 생산되는 해양정보의 특성상 해양정보산업의 진흥에는 공적 정책 투입이 필수적이므로, 해양정보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었음. 특히 해양정보산업에 초점을 맞춘 첫 연구임을 고려하여 해양정보산업 진흥의 필요성과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우리나라 해양정보산업 진흥을 위한 개선된 법률 및 정책 체계와 가칭 ‘해양정보산업 진흥법안’을 제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