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2024년 북한 방송통신 이용실태 조사 사업결과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목적]
- 방송통신 분야에서의 남북 간 교류 및 협력은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방송의 비정치적인 특성으로 교류협력이 비교적 용이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시기에 정보격차 해소 등 사회적 격차 방지와 국민이 공감하는 교류협력을 위해 중요
- 본 연구는 북한의 방송통신 이용실태와 현황을 조사하여 향후 방송통신 정책 수립 및 민간차원에서의 남북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됨
[주요 연구내용 및 정책적 시사점]
- 제2장에서는 최근 북한의 방송통신 변화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최근 북한의 대남전략과 언론의 선전·선동 변화가 북한 방송통신 영역에 어떤 변화를 끼칠 것인지 조사 하였음. 또한 북한의 정보통신 및 스마트폰 관련 정보기술교류소 사례 연구 목표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음.
- 제3장에서는 북한 조선중앙TV를 분석함. 우선, 2023년 조선중앙TV 편성표를 토대로 전체 방송프로그램을 9개 유형을 구분한 후, 프로그램 수, 방송시간 등에 대한 정량적 분석을 시도함. 한편, 편성표를 토대로 한 정량분석만으로는 단순빈도 외에 심층적인 변화상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존재하여 북한의 애니메이션을 선정하여 방송프로그램 심층분석을 시도함
- 제4장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북한의 방송통신 이용실태를 파악함.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TV 시청 빈도, TV 시청 만족도, 스마트기기(노트텔 등)를 활용한 미디어 시청 경험 유무, 휴대전화 보유, 조선중앙TV 시청 빈도, 조선중앙TV 시청 만족도 등을 주제로 통계 분석을 진행함. 또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결과를 재확인하고 계량분석으로는 확인할 수 없었던 풍부하고 상세한 의견과 변화들을 검증함.
-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북한의 폐쇄적인 정책에도 방송 부문 내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방송통신 분야가 향후 남북 간 사회문화적 동질성 회복에 주요한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점임. 이는 단기적인 차원에서 남북관계 및 한반도 정세 변화에 따른 북한 방송통신 전반 및 정책적 차원에서의 수요에 대응하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남북 간 정보격차의 해소와 한반도 방송통신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