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연구원은 자연 기여율 및 모형을 활용한 생태계서비스 평가 개선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그동안 생태계서비스 평가는 개별 서비스 품목의 원단위 가치 추정에 중점을 두었음. 비록 생태계서비스를 ‘인간이 생태계로부터 얻는 혜택’으로 정의하지만, 원단위 가치는 서비스의 최종 산물에 대한 추정값이며 생태계가 순수하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대안적으로 추정할 수 있는 수단(proxy)임. 생태계서비스의 의미와 가치를 정책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최종 산물의 경제적 가치 이상으로 자연의 메커니즘이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이 필요함.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를 프로세스 관점에서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는 두 가지 이슈의 개선방안을 제시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