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약자 대피 강화방안을 모색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도심권 과밀화에 의한 서울시 대규모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급증으로 대형화재 리스크가 상존하며 지하층에서의 화재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2024년 서울시 대규모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은 211개 동으로 59.9%가 서울(전국 346개 동)에 집중되어 있음.
- 2018~2020년 서울시 지하층 연평균 화재발생은 642건으로 전체 화재발생의 11.6%를 차지하며 지하층 화재는 건당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크고, 소방 화재진압 소요시간이 긴 것으로 분석되었음.
- 한편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화재안전을 위한 통일된 지침이나 시설기준이 미비한 상태에서 2023년 3월 「서울시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조례」가 개정되면서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에 대한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 기술 활용과 재난약자 지원에 대한 권고가 신설되었음. 이때문에 지하연계 복합건축물의 화재 대피를 위한 디지털기술 전환과 재난약자 지원을 위한 구체적 대책 마련이 시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