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행복 및 삶의 질 측정과 정책 활용성 제고 방안 연구」를 발간하였다.
- 행복과 삶의 질 증진은 사회정책의 궁극적인 지향으로서 국내외 다수의 공공정책은 국민들이 “행복을 누리는 양질의 삶”을 목표로 내세우고 있음.
- 한국은 경제 발전 수준 대비 국민들이 누리는 행복 수준이 낮은 국가로 알려져 있고 다차원적인 삶의 질은 불균형하게 발달해 있음. 모집단을 대표하는 서베이로 행복을 측정하지만 조사자료에 따른 추세를 설명하고 정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측정 결과의 타당성이나 신뢰성이 담보되어야 함.
- 이 연구는 추상적인 경험인 행복과 다차원적인 영역을 포괄하는 삶의 질을 측정한 결과를 사회정책 현장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하고 정책 활용성을 제안하고자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