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토지주택연구원은 LH 개발이익의 발생구조와 교차보전 체계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 배경 및 목적]
- LH는 [개발이익 환수에 관한 법률]등 사업유형별 법령에 근거하여 개발이익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조성원가 공개 압력, 개발이익 재투자 및 배분에 대한 적극성 결여 비판이 반복적으로 제기
- 사회적으로 혼용하여 사용하는 개발이익의 개념을 검토하고, 개발이익의 사회적 환원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회계적 단위별 손익에 기반하여 LH의 교차보전 체계의 성과와 교차보전 체계의 지속가능성을 검토
[연구결과]
- 과거 수익이 발생하는 구조에서는 사업유형 또는 공급유형별 교차보전 체계가 유지되었으나 최근 주거안정 정책수행과 주택공급 물량 확대로 기존 투자-회수 체계는 균형점을 벗어나며 투자 대비 회수 여력이 현저히 감소
- 발생이익 변동요인을 고려한 데이터 기반 중장기 사업계획 수립과 사업착수시기 조정 등 투자-회수의 불균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수지 유연화 전략 및 정책사업 확대에 따른 정부 지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