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은 북한경제 동향을 분석한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4월호를 발표하였다.
- 북한의 시장가격은 북한경제 분석에서 중요 지표로 활용되고 있으나, 조사 방식과 자료 공개 과정이 불투명하여 현실 적합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 특히 대북제재 및 코로나19 이후 시장가격의 신뢰성은 전반적으로 하락했음. 북한의 광고는 경제적 제약과 미디어 통제로 인해 발전이 정체된 상태이며, 일부 상품에 한정된 브랜드화 및 광고 효과가 부분적으로 나타나고 있음. 북한의 도소매 물가는 코로나19에 따른 국경 봉쇄와 내부적 유통구조 변화로 변동성이 커졌으며, 특히 도매 단계의 마진 확대가 두드러졌음. 통일 이후 사회보장제도는 남북한의 경제적 격차를 감안하여 한시적 분리 운영을 검토하고 있으며, 기초생활보장과 사회보험 제도의 적용 방안에 차등을 두었음. 북한 해양수산 분야 연구는 북한과의 교류 중단에도 불구하고 기초자료 축적 및 통계 구축의 성과를 거뒀고, 향후 연구의 연속성이 필요함을 제시했음. 남북 물류는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육상교통 중심의 복합운송체계 구축과 인프라 준비가 시급함을 강조했음. 북한은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재난 관리와 산림 복구 정책을 추진 중이나, 산림황폐화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