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세계 히트펌프 시장 및 정책 동향과 국내 시사점
에너지경제연구원
2025.05.12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세계 히트펌프 시장 및 정책 동향과 국내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의 필요성] 저 세계적으로 탈탄소화 정책은 발전과 수송 부문을 중심으로 추진되어 오다가, 2016년 EU 열 전략이 발표되며 히트펌프를 핵심 수단으로 산업 부문과 건물 부문의 열에너지 소비의 탈탄소화가 중요 과제로 부각됨.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와 대조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냉방용을 제외하면 현재 난방과 급탕 용도에서 히트펌프는 많이 활용되지 못하고 있음.

[연구의 목적] 히트펌프의 국제적 시장 동향과 관련 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에서의 난방 및 급탕용 히트펌프 보급의 장애요인을 파악하여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결론]
- 국내에서 히트펌프가 정부의 정책적 지원 없이 자연적으로 보급 확대되기란 매우 어려운 상황임. 우리나라의 주요 건물 난방 수단인 도시가스 보일러와 비교해 보면 고정비와 연료비에서 모두 경쟁력을 갖기 어려운 구조임. 공동주택이 일반화되어 있는 국내 주거 체계에서 건설사들이 자발적으로 도시가스 보일러를 히트펌프로 대체할 유인도 존재하지 않음.
- 이러한 장애 요인들을 극복하고 우리나라에서 히트펌프 보급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반드시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임.

[정책 시사점]
- 국가적인 열에너지 탈탄소화 정책의 중요성과 히트펌프의 정책적 가치를 인식해야 하는 부분과 직접적인 지원을 위한 제도를 어떻게 설계할 것이냐로 구분할 수 있음.
- 열에너지 탈탄소화의 중요성 및 히트펌프 가치에 대한 인식 제고가 시급히 필요함.
- 히트펌프 보급 로드맵 및 활성화 대책 수립을 통한 구체적 탄소중립을 위한 방안의 마련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