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우리나라 1인 가구의 한계소비성향 분석
한국금융연구원
2025.05.12
한국금융연구원은 우리나라 1인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최근 우리나라는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2050년에는 전체 가구의 약 39%를 차지할 전망임. 만약 1인 가구의 소비 행태가 다인 가구와 크게 다르다면, 이러한 변화는 향후 우리나라 거시경제 구조변화의 주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 이에 본 연구는 2009~22년 한국노동패널을 이용하여 1인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을 추산하여 다인 가구와 비교한 후,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 또는 1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점검하였음. 실증분석 결과 1인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은 0.121로 다인 가구(0.104)를 소폭 상회하였으나, 분석기간 중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던 것으로 추산되었음. 반면, 1인 가구 내에서는 한계소비성향이 나이 및 소득 수준 등에 따라 상당히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음. 특히, 동일 집단 다인 가구에 비해 40세 미만 또는 소득 상위 25%에 속하는 1인 가구의 한계소비성향은 낮으나, 60세 이상 고령층은 높게 나타났음. 이러한 분석 결과는 1인 가구 급증이 승수효과 측면에서 큰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은 제한적이지만, 정부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1인 가구 간 이질성을 면밀히 고려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