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식량 위기에 관한 인식 및 대응 현황을 조사 ·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 기상이변·전쟁·질병 발생 등으로 인해 최근 식량 위기는 위험 예측이 어렵고 확대되는 추세를 보임. 이러한 여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국내외 위기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위기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식량안보 위기 대응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이에 앞서 어떠한 상황을 위기로 볼 것인지 판단하는 근거로서 식량안보 위기 정의를 조사함. 선행연구를 조사한 결과 식량안보 위기에 대해 공식적으로 정의된 바는 없음. 기존 문헌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정의를 정리하면 “식량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거나 공급량이 부족한 경우 또는 이들의 결합으로 인해 식량안보가 위협받는 상황”으로 나타낼 수 있음.
- 우리나라의 경제력을 바탕으로 봤을 때 식량안보의 가용성 측면, 즉 식량의 공급물량 부족으로 인한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작음. 이를 반영하여 김종진 외(2014)는 국제 곡물 시장의 위기에 관한 연구에서 위기를 “국내에 주로 수입되는 주요 곡물의 국제 가격이 안정적인 상태를 벗어나 국내 물가에 상당한 파급영향이 우려되는 경우”로 정의함.
- 또한 식량안보 위기 대응 시스템 구축 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추상적 정의로 “일시적 식량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는 사건 혹은 시기”를 제시할 수 있음. 아래 그림과 같이 1900년대부터 다양한 국내외 사건·상황들이 우리나라 식량안보에 위협이 되어올 수 있음. 그러나 이 중 어떤 것을 국내 식량안보 위기로 볼 것인가는 체계적 분석이 필요함.
[연구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2000년대 이후 국내에서 발생한 사건들을 바탕으로 어떠한 경우를 식량 위기로 정의, 인식하는지를 분석하고, 식량안보 위기 대응 시스템을 통해 대응해야 할 위기가 무엇인가를 구체화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