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파레토 효율성 측면에서의 조세-이전 체계 평가
한국조세재정연구원
2025.05.12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파레토 효율성 측면에서의 조세-이전 체계를 평가 ·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2024년 현재 우리나라가 직면한 다양한 사회·경제적 변화들은 우리나라 조세-이전 체계의 성숙을 요구하고 있음. 가령 저성장, 양극화, 인구 감소 및 기후변화 등은 조세정책과 재정정책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하고 있는바, 이는 우리나라 조세지출 및 이전지출 규모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가능성이 높음을 말해줌. 그러나 인구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생산가능인구 감소 등이 현실화되는 상황 속에서 재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우려 역시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바, 이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우리나라 조세-이전 체계가 보다 효율적인 방식으로 재편되고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다고 할 수 있음.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현 조세-이전 체계에 대한 평가를 시도하고 현실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수행되었음.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득세제 및 근로·자녀 장려세제, 기초생활보장제도 중 생계급여의 설계 방식 및 운영 현황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경제학 내 최신 방법론을 중심으로 파레토 효율성 측면에서 조세-이전 체계를 엄밀히 평가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고찰함. 나아가 해당 방법론을 실제 적용하여 우리나라의 조세-이전 체계를 파레토 효율성 측면에서 실증적으로 평가하고, 현 시점에서 근로장려세제 개편 등을 통한 파레토 개선 가능 여부 및 구체적인 개편 방향 등에 대하여 논의함. 다수의 선행연구들은 특정 제도의 도입 내지 변화가 노동시장 또는 소득분배 등에 미친 영향에 집중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일정한 기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조세-이전 체계 전반에 대한 엄밀한 평가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 대비 차별화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