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재생에너지 공급확대를 위한 중장기 발전단가(LCOE)전망 시스템 구축(5/5)」을 발간하였다.
-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 리스크와 탄소중립 시대의 전환, 에너지 안보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대책 논의가 진행 중임.
-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려면 물리적·사회적 여건을 검토하는 것은 물론, 이에 따른 경제적 영향도 면밀히 고려해야 함.
- 지속적인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현재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향후 재생에너지 LCOE를 낮추기 위한 개선 방안이 필요함.
-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비용 조사 시스템 구축을 통한 합리적인 LCOE 분석 및 전망
- LCOE 분석결과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 비용 효율적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제시
<목차>
요약 ⅶ
제1장 서론 1
제2장 해외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현황 및 전망 5
제3장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비용 조사 9
1. 태양광 발전 설비비용 조사 10
1.1. 조사 항목 및 방법 10
1.2. 지상형 태양광 조사 결과 14
1.3. 특수태양광(건물형, 영농형, 수상형 태양광) 비용 조사 결과 17
2. 풍력 발전설비 비용 조사 18
2.1. 육상풍력 발전 설비비용 조사 19
2.2. 해상풍력 발전 설비비용 조사 26
3.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운영 및 유지비용 조사 28
4. 재생에너지 발전사업 부지 임대비용 조사 32
제4장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추정 전제조건 37
1. 할인율 38
2. 이용률 40
3. 성능저하율 42
4. 법인세율 43
5. 경제수명 43
제5장 재생에너지 발전단가(LCOE) 분석 45
1.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LCOE 추정 45
2. 재생에너지(태양광, 육상풍력) LCOE 저감 요인 분석 64
3. 전국토 격자-LCOE 모형을 활용한 태양광 LCOE 추정 및 전망 67
제6장 결론 및 시사점 79
1. 우수 입지 확보 및 정보 접근성 강화 80
2. 태양광 사업모델의 다양화 및 효율성 제고 80
3. 지자체별 규제 완화 81
4. 대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확대 82
5. 재생에너지 산업 공급망 확충 83
참고문헌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