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미국 통상정책 재정립을 위한 무역 불균형지수를 분석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우선주의 무역정책‘을 통해 불공정 무역 관행을 시정하기 통상 압박을 본격화 했음. 정보기술혁신재단(ITIF)은 이를 지원하기 위해 48개국을 대상으로 한 ‘무역 불균형지수’를 개발하고 상품·정보서비스 무역수지, 무역제한조치, 세금·규정, 지식재산권 등 4대 분야 11개 지표를 평가했음. 특히 중국, 인도, EU는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3대 국가로 미국의 무역 보복 가능성이 큰 대상으로 지목되었음.
1) 중국은 대규모 무역흑자, 지재권 침해, 자국 기업 우대 정책 등이 문제시되었으며, 또한 미국 기술 기업에 불리한 반독점 조치도 강화하고 있음.
2) 인도는 높은 관세율과 디지털서비스세 부과, 지식재산권 보호 미흡 등으로 낮은 점수를 받았음.
3) EU는 디지털시장법(DMA) 등 미국 기업을 겨냥한 규제와 의약품 가격 통제 등을 문제로 지적받았음.
- 지표별로는 고관세, 비관세장벽, 서비스 무역 제한, 디지털세, 과도한 반독점 과징금 등이 핵심 항목으로 분석되었음.
- 우리 정부는 일부 항목(디지털경제 과징금, 반독점 등)에서 미국 기준과 충돌 소지가 있으며, ‘관세대응 119’를 운영하며 관세 유예 기간 동안 기업 지원 및 미국과의 협의를 추진 중임. 무역 불균형지수는 향후 미국 통상정책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예측 지표로서 기능할 것으로 평가되어 긴밀한 정책적 조치가 요구되는 시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