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정책연구소는 유아교육·보육(ECEC) 정책 성과와 과제를 모색한 2번째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그동안 육아정책연구소는 유아교육 정책 성과와 과제(2010-2015), 보육 정책 성과와 과제(2010-2015), 육아정책 분석과 과제(2018-2021) 등, 국정과제 이행 분석을 위한 육아정책 전반의 성과 평가 및 모니터링 과제를 다년도 연구로 수행해 왔음. 2024년은 유보통합이라는 유아교육과 보육 분야에서의 큰 정책적 전환기를 맞이하였고, 양육지원체계의 전반적인 확대 속에서 그 중요성과 역할 범위가 더욱 확장되고 있음.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의 핵심 과제와 주요 어젠다를 고려하여 새 정부 유아교육?보육 정책의 방향성과 미래 대응 전략을 재고할 필요가 있음.
- 유아교육?보육(ECEC) 정책은 영유아기 양육지원체계를 포함하여, 육아 및 교육?돌봄 정책에 관한 국가 핵심과제를 담는 중요한 부분임. 초저출생의 추세와 인구구조의 가파른 변화가 진행 중으로, 정부의 유아교육?보육 정책의 수립과 이행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은 정책 수행의 실질적 효과와 유아교육?보육 현장의 수요자 중심의 접근을 제고하기 위해 필요함.
- 이런 취지로 수행된 본 연구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수행하는 연속과제로 정부 국정과제 수립에 따른 유아교육과 보육 정책 분야의 설계와 이행과정을 점검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 보고서는 수요자 및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한 정책 성과분석 및 향후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표를 두었음. 현 정부의 ECEC 관련 국정과제 수행과 이행의 단계별로 핵심과제 도출 및 성과와 이행과정을 모니터링함으로써, 2년차로 정책 이행의 종합 및 부문별 성과를 분석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