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트럼프 행정부 출범 100일, 무역 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25.05.19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무역 정책 추진 동향 및 시사점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 [미국 우선주의 강화, 글로벌 무역질서 개편 본격화]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 우선주의 기조 아래 글로벌 무역 시스템 재편을 본격 추진하고 있음. 취임 후 100일간 129건에 달하는 행정명령을 발표하며, 무역정책을 포함한 주요 경제정책을 신속히 집행했음. 제조업 리쇼어링, 공급망 재편, 에너지 자립 등을 골자로 하는 미국 중심의 경제 구조 재편을 목표로 삼았음. 특히, 전통 제조업 부활과 대중 무역 불균형 해소를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며 관세 부과와 제재를 통해 통상 압박에 나섰음. 관세 조치 이후 미국 내외에서 다양한 우려와 비판이 제기됐음. 미국 경제 성장 둔화, 글로벌 공급망 충격, 소비자 물가 상승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음. 이에 본 보고서는 트럼프 정부 출범 후 100일간의 무역 정책 추진 동향을 분석하고, 우리 기업 및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자 함.

- [우리 기업에 대한 영향, 대응 필요성 대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조치로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심화되고, 비용 증가에 따른 수출환경 변화 예상됨. 특히 우리기업의 주요 대미 수출 품목들(자동차, 반도체, 철강·알루미늄 등)이 관세 조치의 직접적 영향권에 포함됨에 따라, 주요국 관세 및 수입 규제 동향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 필요함. 미국 내 수입품 수요 위축에 대비해 유망품목 발굴하고, 상품 및 기술 경쟁력 강화할 필요 있음. 또한 해외 기업 대상 공급망 및 원산지 규정 강화 관련 리스크 사전 점검하고, 미국산 조달 계획 수립 및 원산지 검증 절차 강화에 대비해야 함. 미국의 관세 조치에도 불구하고 한미 간 파트너십 강화를 위해 전략산업 협력 통해 양국 기술 경쟁력 제고도 모색할 필요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