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책연구원은 2024년도 국제기술혁신협력사업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하였다.
[연구목적]
- 과학기술혁신에 특화된 정책자문을 통해 법과 제도 구축, 국가 과학기술혁신체계 구성에 필요한 기관의 설립과 운영 지원을 통해 개발도상국의 과학기술혁신 기반 지속가능발전에 기여
- 과학기술혁신을 통한 성장의 모델로서 한국의 발전모델을 공유하고 미래지향적 혁신 기반 협력을 강화함으로서 對개도국 과기협력의 시발점으로 활용
[주요내용]
- 2024년 11차 연도 국제기술혁신협력사업은 총 가나, 아제르바이잔,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페루 등 5개국을 대상으로 정책자문을 제공함
- 국가 과학기술혁신시스템 개선 및 유망분야 기획 및 기숱예측, 국가연구개발관리 및 지원정책, 첨단기술단지 등 프로그램 차원의 정책자문이 주로 제공됨
- 국별로 현지 출장 및 초청연수, 성과확산 워크숍 등의 대면 방식과 함께 필요시 온라인 회의를 기반으로 협력국 파트너기관과 긴밀한 소통을 통해 2024년도 사업 추진
[정책대안]
- (가나) 가나의 국가연구개발혁신 관리체계 현지 실태 분석 및 국가 연구개발혁신 관리체계 수립 및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자문 제공
-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최초의 기술사업화플랫폼 서비스 고도화 지원 및 한국형 기술창업 교육 프로그램(Training the Trainer, TTT)을 통한 아제르바이잔 기술사업화 인스트럭터(6명) 양성
-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국가연구혁신청(BRIN)의 R&D 인프라 및 펀딩 scheme 개선을 위한 정책 제언 및 R&D 인프라 및 R&D 펀딩 scheme 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초안 개발
- (캄보디아) 캄보디아 이해관계자 대상 국가연구개발정보 관리시스템 설계(안) 공유 및 확산 및 2단계 국가 6대전략 분야 기술로드맵 이행을 위한 연구펀딩 조직 설립(안) 장관 승인
- (페루) 6대 중점분야별 기술로드맵을 기반으로 R&D 프로그램 기획 방법론과 R&D 거버넌스 구축, CONCYTEC의 법적 지위 및 R&R(Role & Responsibility)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