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시간 및 경제적 자원과 정책」을 발간하였다.
- 이 연구는 한부모가족이 겪는 경제적 어려움과 시간 자원의 제약이라는 복합적 문제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보완 방향을 제시함.
- 한부모 가구는 상대적으로 낮은 소득 수준과 돌봄 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문제를 동시에 겪고 있으나, 현재의 지원제도는 선정 기준의 경직성, 급격한 혜택 변화(‘전부 또는 전무’ 구조), 소득 역전 현상 등으로 인해 자립 유인을 저해하고 제도 접근성을 제한하는 경향이 있음.
- 시간 지원 또한 저소득층 중심의 제한적 적용과 노동시장 내 제도적 사각지대로 인해 실질적인 돌봄 공백 해소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본 연구는 이러한 제도적 한계를 진단하고, 소득 기준의 다층화, 재산 산정 기준의 현실화, 자녀 기준의 시간 자원 총량 보장, 돌봄서비스의 표적화와 포괄성 강화 등 정책 개선 방향을 도출함.
- 한부모가 혼자서도 안정적으로 자녀를 양육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일은, 모든 아동에게 동등한 양육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무의 일환으로 인식될 필요가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