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산업정책 추진체계 및 정부조직 개편방안
국회미래연구원
2025.05.22
국회미래연구원은 산업정책 추진체계 및 정부조직 개편방안을 모색한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본 브리프는 산업정책이 기술개발, 산업지원, 공급망 재편, 인프라 구축, 탄소중립 등 다층적 목표를 포괄하는 영역임으로, 정책 통합성과 실행력 확보가 관건이라고 설명함. 한편, 산업정책 거버넌스 개편은 탈세계화와 보호무역주의 대두 등 국제 경제통상 질서의 변화, 기술 패러다임 전환, 기술패권 경쟁, 복합 위기 심화 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적 체계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함.

- 브리프는 산업지원과 정보통신 분야, 그리고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조직에 대한 개편방안을 제안함. 먼저 “산업 기업 정보통신정책의 전략적 연계 강화를 위한 산업부 중심의 통합 개편방안”으로서 ▲ 산업부를 모체로 하여 중기부 핵심 기능을 주요 정책영역별로 전략적으로 통합·재배치하고, ▲ 다양한 부처에 분산된 정보통신 정책기능을 산업부 산하로 이관하여 기술 산업 연계 전략을 총괄하는 체계로 재편하는 한편, ▲ 중기부의 스타트업 및 중소기업 지원 기능은 산업부와 통합하되, 소상공인 정책은 별도 ‘청’ 단위로 분리하는 방안을 제안함. 덧붙여, 부처 비대화나 기술정책의 종속 우려 등을 고려할 때, ▲ AI·SW·데이터 등 지능정보기술을 총괄하는 전담 부처를 별도로 신설하는 방안도 대안으로 제시함. 한편,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조직에 대한 개편방안으로 탄소중립 이행력 제고를 위해 ▲ 환경부(기후정책)와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정책)에 분산된 기능을 통합하여, ‘기후에너지부(가칭)’를 신설하는 방안을 제안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