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국내 지속가능항공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분석
산업연구원
2025.06.04
산업연구원은 국내 지속가능항공유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살펴본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지속가능항공연료(SAF)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전 세계 항공산업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SAF 산업의 전략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음.

- 그러나 국내 SAF 산업은 여전히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제도적 기반과 정책 지원이 절실한 상황임. 특히 기존 석유계 항공유 대비 생산 단가가 높아 가격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생산 및 공급뿐만 아니라 수요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 우리나라의 경우 향후 원료 부족이 예상되며 수입 비용이 높아 세제 혜택과 통상 전략의 병행 등이 요구됨. 이와 함께 원활한 SAF 생산과 공급을 위한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직접 및 간접 지원을 통한 공급망 안정화 노력이 필수적임. 수요 확대 측면에서는 SAF 혼합사용 의무화 규제와 더불어 가격안정화 지원을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함.

- 아울러 SAF 산업은 민간의 자율적 투자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으며, 정부·공공기관·금융권 간 협력을 통한 공동 대응체계 마련이 필요함. 이는 산업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지속 가능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 주요 선진국들은 이미 SAF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도입하고 있으며, 공공부문 사용 확대와 탄소 감축 인센티브 제공 등을 통해 민간 참여를 촉진하고 있음. 반면 한국은 아직 이러한 정책적 틀이 체계적으로 구축되지 않아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국내외 정책 동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한국형 SAF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해야 함. 산업 경쟁력 강화뿐 아니라 SAF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략적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