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내용으로 건더뛰기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ENG
  • 경제배움
  • Economic

    Information

    and Education

    Center

최신자료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5월
한국개발연구원
2025.06.04
한국개발연구원은 북한경제 동향과 이슈를 분석한 KDI 북한경제리뷰 2025년 5월호를 발표하였다.

- 이번 호는 북한의 정보통신기술 발전과 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네 편의 보고서를 수록했음. 휴대전화 보급은 취약계층의 소득 증대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고강도 정보통제 하에서도 환율·가격정보, 상품 유통, 금융서비스 등 다양한 영역에서 경제적 효용을 창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애플리케이션 산업 분석에서는 600만 명을 상회하는 이용자 기반과 66.4%의 가구당 보급률, 디지털 격차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교육·의료 앱 중심의 이용 확대와 민간 참여 기반의 생태계 조성 노력이 확인됐음. ‘인민경제 CNC화’ 추진은 공작기계 중심의 기술 도입을 넘어 분산조종체계의 보편화 전략을 통해 경공업 및 1차 산업까지 기술 확산이 이뤄졌으나, 운영 역량과 기술 지원 한계로 인해 지속 가능한 성과에는 제약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음. 2020~2024년 ICT 관련 문헌 분석을 통해서는 자립적 개발 중심의 정책 기조와 함께, 과학기술 강국 건설이라는 국가 전략 하에서 ICT 분야가 전략적 핵심 분야로 부상하고 있음을 확인했음. 이러한 분석 결과들은 북한이 제약적 환경 속에서도 정보통신기술을 통한 경제발전 모색과 주민 생활 개선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