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지주경영연구소는 주택시장 동향 및 전망을 분석한 KB주택시장 리뷰 2025년 6월호를 발표하였다.
[종합] 서울 재건축 단지, 세종 등 일부 지역에서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며 주택시장 양극화 확대
- 수도권은 규제 지역 재지정에도 불구하고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 지속, 정비사업 규제 완화 가능성과 추가 가격 상승 기대감 등에 힘입어 매수 심리 회복세가 뚜렷
? 비수도권은 거래 시장이 부진하고 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분양물량도 감소. 주택시장 위축세가 장기화되면서 양극화 심화
[매매시장] 전국 주택가격은 상승세를 보였으며 서울 재건축 단지, 세종 등 일부 지역은 상승폭 확대
- (가격) 5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05% 상승했으며, 과천과 세종 등 일부 지역은 상승세를 지속
- (거래) 4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6.5만 호로 2개월 연속 6만 호를 상회
[전세시장] 수도권 아파트 입주물량이 일시 증가할 전망이나 수요 대비 공급은 여전히 부족
- (가격) 5월 수도권 전세가격(+0.11%)은 22개월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며, 6월 수도권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1.8만 호로 직전 5년 평균 대비 25.7% 증가할 전망이나 전세 수요를 흡수하기에는 공급이 여전히 부족한 상황
- (거래) 4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 중 비아파트는 월세가 75%(아파트 45%)를 차지하며 대세로 고착화되는 추세
[주택 분양]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분양시장 양극화 심화
- 5월 전국 아파트 분양물량은 전월 대비 5천 호 감소한 1.7만 호(수도권 1.5만 호, 비수도권 0.2만 호)를 기록
- 4월 아파트 미분양물량은 6.8만 호를 차지했으며, 준공후 미분양물량이 2.6만 호로 21개월 연속 증가세를 시현
[주택금융] 주택담보대출은 전월 대비 4.2조 원 증가하며 8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 기록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기간(2월 13일~3월 23일) 서울을 중심으로 주택 매매 거래량이 증가했고, 오는 7월 규제 강화를 앞두고 대출 수요가 몰리면서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크게 확대(4월 3.7조 원→5월 4.2조 원)
- 4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금리(신규 취급액 기준)는 전월 대비 0.19%p 하락한 3.98%를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