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저출산의 주요 현안과 시사점을 발간하였다.
- 고령화·저출산은 경제적으로도 많은 이슈를 불러일으키지만, 한편으로 사회·문화·정치적 요인들이 결합된 현상이고 사회 구성원들의 장기적인 결단과 신체 변화에 따른 자연 현상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근본적·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함.
- 제2장에서는 수명이 유한한 개인이 세대를 거쳐 진입·소멸(사망)하는 OG 모형의 경우를 검토해, 출생·사망 및 고령화 같은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성장(Growth) 및 불평등(Inequality)에 관한 영향을 예측 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살펴봄.
- 제3장에서는 고령화·저출생에 관련된 해외 및 우리나라의 현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관련 제도·규정 등의 실태 및 그동안 우리의 주요 정책들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함.
- 제4장에서는 고령화·저출산 추세에 따른 여러 사회적 파급 문제 중에서 공적연금 및 기타 사회보장에 관한 내용을 현안 중심으로 검토하고자 함.
- 제5장에서는 이전 장에서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서 고령화·저출산의 현황과 심각성을 다시 한 번 환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