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한국형 AI 산업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살펴본 브리프를 발표하였다.
- 한국의 산업사는 절망과 희망 사이를 오가는 긴 항해였음. 1960년대 절대빈곤의 폐허에서 시작된 산업화의 여정은 반세기를 거쳐 2025년 선진국 문턱에 도달했음. 그러나 도착지는 곧 새로운 출발점이 되었음. 저출생과 고령화라는 인구절벽 앞에서, 탄소중립이라는 거대한 전환 앞에서, 그리고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전쟁과 방위비 인상 압박이 몰아치는 지정학적 격랑 속에서 한국 산업은 생존과 도약 사이의 기로에 서 있음.
- 미국의 대중국 관세율이 60%를 넘나들고, 한미 방위비 분담금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현실은 단순한 무역분쟁을 넘어 글로벌 공급망의 근본적 재편을 의미함. 중국 의존도가 높은 한국 제조업에게는 치명적 타격이지만, 동시에 새로운 공급망의 허브로 부상할 수 있는 역사적 기회이기도 함. 더욱 중요한 것은 이러한 지정학적 격변과 동시에 AI라는 범용기술(General Purpose Technology)이 전례 없는 속도로 모든 산업을 관통하고 있다는 점임.